가랑비
가랑비
  • 47
  • 14 382 207
왜 직선이 아니라 곡선으로 가는 걸까? - 대권(Great Circle)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어째서 비행기가 지도상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가는 지 간단하게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Переглядів: 141 177

Відео

비행기는 지상에서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
Переглядів 921 тис.2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가 지상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질문하시는 분들이 꽤 계셨습니다. 비행기가 지상에서 어떠한 원리로 움직이고, 어떻게 멈추고, 어떻게 방향전환을 하는지 등등을 간단하게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00:00 인트로 및 비행기가 지상에서 움직이는 원리 00:30 브레이크 밟는 법 01:10 방향전환 방법 02:10 비행기의 후진 방법 02:47 토우 카 04:10 푸쉬백과 택시 05:20 유도로의 마킹과 등화 [세부 설명] 1. 본문에서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무게)를 증가시켜야한다고 설명하였스나, 엄밀히 말씀드리자면 마찰력은 마찰계수와 수직항력의 곱으로 나타냅니다. 마찰력 = 수직항력 X 마찰계수 여기서 수직항력은 cos(기울기각도) x mg입니다. 여...
왜 비행기들은 연료를 하늘에 버릴까? - Fuel Jettison
Переглядів 417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종종 비행기가 공중에서 연료를 버렸다는 소식을 접하셨을 겁니다. 이러한 행위를 Fuel Jettison(dumping)이라고 하는데요. Fuel Jettison은 왜 하는지, 또한 언제, 어디서 하고, 관련된 오해를 풀고자 간단하게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00:00 인트로 00:10 무게가 다르다 01:45 언제, 어디서 하는걸까? 03:38 모든 여객기가 제티슨을 할 수 있진 않다 04:59 제티슨과 관련된 법적사항 06:22 CFR 25.1001과 LD CLB & APP CLB 07:55 아웃트로 [세부설명] -Maximum Landing Weight와 관련해서는 단순 기체손상 뿐만 아니라, 활주로, 장비의 고장, 기상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MLW가 존재합니...
비행기 연료는 얼마나 싣는 걸까?
Переглядів 649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연료는 얼마나 싣는지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EDTO와 관련한 정보는 누락시켰습니다. 또한 법정 연료의 설명은 ICAO Doc를 근거로 한 것이며, FAR과는 다른 점 시청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1.1v 수정사항] 1) 전체적인 디자인과 폰트 및 음악 변경 2) 연료의 부피는 온도와 기압에 따라 변화하나, 기압 차이로 인한 부피의 변화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기압을 누락 3) 기내의 계기와는 다르게 주유를 할 때는 부피단위를 쓴다는 것을 언급 4) 법정 연료 설명에서 누락되어있던 Taxi Fuel 추가 5) 설명한 Block Fuel은 실제 Block Fuel과는 차이가 있음을 언급 6) 김포-제주 및 동남아 비행 시 대략적인 Block fuel의 양과 ...
[코멘터리 영상] 왜 비행기 엔진은 날개 밑에 있을까? 영상에 대한 코멘터리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3 роки тому
실시간방송 편집하여 업로드 합니다. 00:00 영상조회수와 다루는 정보의 관계 06:40 영상 제작 비하인드 21:50 미처 영상에서 언급되지 않은 요소들 34:30 왜 커뮤니티에 댓글 관련 공지를 했는가?
왜 비행기 엔진은 날개 밑에 있을까?
Переглядів 892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엔진은 어째서 날개아래에 달려있는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참고로 영상에서 다루지 않았지만, T tail 비행기들은, deep stall에 매우 취약합니다. Stall은 간단히 말해서 날개에 공기흐름이 없어, 추락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비행기가 공기를 가르며 나아가면서, 날개가 바람을 맞이하면서 날아가는데, 이때 바람과 날개의 각도를 “받음각”이라 합니다. 이 받음각이 일정양 이상을 초과하면 날개 위쪽의 흐름이 떨어져 나가 양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공기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이것을 Stall이라고 합니다. Stall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하는데, T tail의 구조상 deep stall에 빠졌을 때, 날개에서 발생된 후...
비표준 교신 용어. 뭐가 있을까?
Переглядів 72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조종사가 쓰는 비표준 무선 교신 용어에는 무엇이 몇가지만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00:00 LA공항 교신 00:16 인트로 00:31 찰리 찰리 01:12 더블 클릭 01:55 영화 에어플레인 03:03 5 x 5 03:50 주파수관련 용어 04:48 고도관련 용어 05:23 Fish Finder 06:53 아웃트로
에어라인 조종사의 구독자 5만명 기념 Q&A 영상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3 роки тому
커뮤니티에 올라온 질문 중에서 골라서(혹은 자주 올라온 질문 중) 선별하여 Q&A영상을 만들었습니다. 다음 Q&A는 언제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배경음악 : Liszt - Hungarian Rhapsody No. 2
비행기 식별에 쓰이는 "스콱코드"란 무엇일까? - squawk code
Переглядів 94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스쿽코드와 트랜스폰더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추가 설명 : 1. 레이다는 주레이다(primary Radar)와 보조감시레이다(Secondary Surveillance Radar)로 구분됩니다. 주레이다는 주로 항적을 찾아내고, 보조감시레이다는 트랜스폰더와 신호를 주고받는데 사용됩니다. 2. IFR(계기비행)을 하는 여객기들과는 다르게, 범용항공에 속한 작은 비행기들은 주로 VFR이라 불리는 시계비행을 합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에서 지정한 VFR Squawk 코드는 7000이고, 북미에서는 1200을 사용합니다. 만약 미국에서 “스콱 VFR”을 지시 받았다면, 1200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비행계획서를 제출하지 않고도 VFR 비...
밤과 구름을 극복한 항공 초기 역사
Переглядів 50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옛날 비행기들은 어떻게 야간과 구름을 극복하였는지 알아보는 간단한 영상입니다. 00:00 인트로 00:18 미국 항공우편의 시작 00:51 Pilotage와 Dead Reckoning 01:27 Dead Reconing의 한계 01:52 야간비행의 필요성 02:21 항공로 등대 소개 03:16 항공로 등대 부연설명 04:01 항공로 등대의 한계 04:37 Radio Range 소개 05:47 Radio Range 부연설명 07:31 루프 안테나 소개 08:31 방향탐지의 발전 과정 09:48 NDB의 등장 10:20 AM라디오방송 10:42 LF, MF 무선항법장비의 단점 11:06 VOR 등장 11:50 아웃트로
비행기 무선 통신의 원리와 특징
Переглядів 133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무선교신과 그와 관련된 용어와 정의를 간단히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00:00 인트로 00:15 무전기의 특징 00:59 반-이중통신 02:37 무선 주파수 03:50 AM과 FM 04:54 주파수를 맞추는 방법 05:12 HF 06:39 SELCAL 07:40 항공기 등록부호 [Version 1.1] 다음 사항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항공에서 AM이 널리 쓰이는 이유가 틀렸던 것을 수정 -HF와 VHF의 차이를 언급할 때마다 "(에너지 관점에서)HF가 VHF보다 약하다는 내용"을 암시하는 내용이 있었으나, 내용상 생략함 -Line of Sight의 거리가 잘못되었던 것을 수정함.
비행기 날개에 달려있는 이거. 도대체 무엇일까?
Переглядів 1,6 млн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플랩트랙페어링과 플랩이 구동하는 매커니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00:00 Flap과 Slat 01:15 Fowler Flap과 Slotted Flap의 차이 02:45 Fowler Flap의 구동 원리와 Track이 있는 이유 03:28 Flap Track Fairing이 있는 이유 04:00 Hinged Flap의 구동 원리와 장점 05:16 Flap Track Fairing의 영향과 A320 CDL
조종석의 빙글빙글 도는 이거. 도대체 무엇일까?
Переглядів 1,1 млн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피치트림(Pitch Trim) 원리와 대표적인 소형여객기인 에어버스 A320의 오토피치트림을 간단하게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00:00 Horizontal Stabilizer와 Elevator의 역할 01:57 Pitch Trim의 역할과 정의 03:47 에어버스의 Auto-Pitch Trim
비행기 유압장치, 원리가 뭘까? - A320의 유압계통
Переглядів 180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비행기 유압장치 원리와 대표적인 소형여객기인 에어버스 A320의 유압계통을 간단하게 알아보는 영상입니다. Version 1.1 - 유압 펌프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을 수정했습니다. - PSI에 해당하는 수심이 잘못 나오던 것을 수정했습니다.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부분 수정했습니다.
에어라인 조종사의 플심 2020 파로 공항 착륙 (100만점 넘기기)
Переглядів 36 тис.3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조종사의 플심 2020 파로 공항 착륙 (100만점 넘기기)
왜 비행기는 최대출력으로 이륙하지 않는걸까? - Flex Takeoff
Переглядів 274 тис.3 роки тому
왜 비행기는 최대출력으로 이륙하지 않는걸까? - Flex Takeoff
비행기 화장실 오물은 어떻게 처리할까?
Переглядів 562 тис.3 роки тому
비행기 화장실 오물은 어떻게 처리할까?
비행기는 어떻게 착륙하는 걸까?
Переглядів 1,2 млн4 роки тому
비행기는 어떻게 착륙하는 걸까?
왜 여객기들이 승객없이 화물을 싣고 다니는 걸까? - 벨리 카고
Переглядів 146 тис.4 роки тому
왜 여객기들이 승객없이 화물을 싣고 다니는 걸까? - 벨리 카고
제주남단 회랑항로. 왜 중국과 일본이 관제할까? - AKARA FUKUE Corridor
Переглядів 111 тис.4 роки тому
제주남단 회랑항로. 왜 중국과 일본이 관제할까? - AKARA FUKUE Corridor
철새들은 왜 V자로 날까? - 철새들의 행동을 모방한 에어버스의 FelloFly
Переглядів 40 тис.4 роки тому
철새들은 왜 V자로 날까? - 철새들의 행동을 모방한 에어버스의 FelloFly
세계최대 여객기 A380은 왜 실패했을까? - A380 단종의 이유
Переглядів 1,7 млн4 роки тому
세계최대 여객기 A380은 왜 실패했을까? - A380 단종의 이유
오토파일럿이 있는데, 조종사가 왜 필요할까?
Переглядів 84 тис.4 роки тому
오토파일럿이 있는데, 조종사가 왜 필요할까?
에어라인 기장님과의 항공 Talk 시간! - 편집본 20200306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4 роки тому
에어라인 기장님과의 항공 Talk 시간! - 편집본 20200306
비행기 탑승을 왜 보딩이라고 할까? - 보딩에 대해 알아보자
Переглядів 195 тис.4 роки тому
비행기 탑승을 왜 보딩이라고 할까? - 보딩에 대해 알아보자
비행기에 쌓인 눈은 어떻게 치울까? - 제방빙
Переглядів 77 тис.4 роки тому
비행기에 쌓인 눈은 어떻게 치울까? - 제방빙
A350 앞창문 주변은 왜 검게 칠해져 있을까?
Переглядів 159 тис.4 роки тому
A350 앞창문 주변은 왜 검게 칠해져 있을까?
인천공항의 러시아워와 이른보딩을 하는 이유
Переглядів 233 тис.4 роки тому
인천공항의 러시아워와 이른보딩을 하는 이유
난기류는 왜 발생하고, 얼마나 위험할까? - 순항편
Переглядів 412 тис.4 роки тому
난기류는 왜 발생하고, 얼마나 위험할까? - 순항편
비행기의 역추진,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 역추진의 원리
Переглядів 562 тис.4 роки тому
비행기의 역추진,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 역추진의 원리

КОМЕНТАРІ

  • @UC0MWv5H3ZEOInYVjH1GfEoQ
    @UC0MWv5H3ZEOInYVjH1GfEoQ 2 дні тому

    날개 위에 있으면... 이상하잖아

  • @juk926
    @juk926 3 дні тому

    언제돌아오시나요 ㅠ

  • @비둘기트랙스_부계정
    @비둘기트랙스_부계정 8 днів тому

    아 평평한게 저것때문이었구나

  • @user-mn8xs1jd8e
    @user-mn8xs1jd8e 8 днів тому

    진짜 완벽한 설명이다!

  • @user-fu1wd6qm6g
    @user-fu1wd6qm6g 10 днів тому

    저거 공부하는데 엄청 오래걸리죠? 디게 어려울것 같은데

  • @ggwqeqqr9534
    @ggwqeqqr9534 11 днів тому

    수고했어 뚱땡아. 넌 그래도 정말 멋져

  • @choroc12345
    @choroc12345 11 днів тому

    한달전 일본ANA 타고 하네다 가는데.. 승객전원 소리지르고.. 승무원들 조차 벌벌 떨 정도로 터뷸런스가 심했어요. 다행히 사고는 없었지만 얼마나 흔들렸는지 일본에서 만 하루동안 계속 토하고 밥 못먹고 두통약 ㅠㅠ 공포 그 자체였어요

  • @mr-nn1cy
    @mr-nn1cy 13 днів тому

    안전벨트 꼭 맵시다..

  • @user-jd4kl2wd1d
    @user-jd4kl2wd1d 13 днів тому

    또 중국이야?

  • @oxcarxierra
    @oxcarxierra 13 днів тому

    대학교 2학년 항공역학 전공과목 내용인데.. 중학생도 이해할 정도로 잘 설명하시네요 학생때 봤으면 좋았을걸😢 대단하십니다

  • @user-pf3vm7ii4w
    @user-pf3vm7ii4w 14 днів тому

    7살 아이와 보고있습니다 제가 부연설명해주는데 아주 좋아라 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awesomekoreaa
    @awesomekoreaa 20 днів тому

    난 저게 엔진인줄 알았는데

  • @user-zl7yr7pp6t
    @user-zl7yr7pp6t 21 день тому

    현직 난기류 입니다 조심하세요 저도 저를 컨트럴 하기 힘들어요 위험해요

  • @user-oc8wr9df3m
    @user-oc8wr9df3m 22 дні тому

    안녕하십니까! 조종사를 지망하는 학생입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학교에서 제트엔진과 관련된 발표를 하게 되었는데, 가랑비 님의 자료가 너무 보기 좋게 잘 되어 있어서 혹시 캡처해서 발표 자료로 사용해도 되는지 여쭤보고 싶어서 댓글 답니다! 출처 잘 표기하겠습니다!

  • @tkkim3637
    @tkkim3637 23 дні тому

    cfr 은 연방법의 시행령이에요

  • @yujinlm
    @yujinlm 25 днів тому

    중요한 얘기 하는데 음락이 방해됩니다!

  • @mitch4949
    @mitch4949 27 днів тому

    드랍십 대사 five by five가 무슨 뜻인지 드디어 알게되었네요 ㅎㅎ

  • @user-nq5gg3yj3j
    @user-nq5gg3yj3j 29 днів тому

    멕시코시티에서 브라질 과릴리오스공항으로 가는데 식사중인데 뱅기가 좀흔들리니, 기장이 시트벨트메라고해서 시트벨트메고 식사하려고하는데 뱅기 더요동치는거임....식판위 커피잔이 튀어올라 쨍하고 떨어지더니 어퍼져서 식판위로 커피쏟아지고 일부음식은 테이블밑으로 떨어지고, 여자들 비명지르고... 산소마스크는 않떨어졌지만, 아~ 이래서 뱅기가 추락하고, 죽는구나하는 생각이들 무렵, 뱅기는 거짖말같이 순항......기장이 또 위험할수도 있으니 벨트해제까지는 벨트메라고.....50년 감수했네요.. 또 뱅기가 청룡열차멘키고 뚜~욱 떨어지는 경우도있는데, 이때도 식겁합니다ㅋㅋㅋ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29 днів тому

    온난화날씨땜누구도알수없네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29 днів тому

    난기류는소용돌이치니 엄청위험하네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비행기도자꾸타면고소공포증덜해요 케이블카도최고고도에올라가는것과같다 중국에는최고로높다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비행기가최고고소공포증잇는분못탓다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난기류발생때는방송하겟지승무원이요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난기류는공중서비행기가소용돌이치는것아닌가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착륙할때는소리가나고 덜컹덩하지바퀴가내려오고점점속도낮추니깐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비행기타니바람불어도 막흔들리는데무섭다

  • @user-xy6gj5lw9t
    @user-xy6gj5lw9t Місяць тому

    난기류만나면무섭겟다 사람다치고비행기가흔들리고공포지

  • @Xevi0us
    @Xevi0us Місяць тому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kg을 쓰는데 왜 파운드를 항공에 쓰는지 이해가 안감. 미국만이 쓰는 파운드.

  • @user-jp2ze7ys1l
    @user-jp2ze7ys1l Місяць тому

    기장님 다시 돌아와주세요 ㅠ

  • @user-ym7ou4gi5p
    @user-ym7ou4gi5p Місяць тому

    깔끔한 설명과 이해를 돕는 그림은 정말 훌륭합니다. 다만 플랩이 양력을 생성하는것은 맞지만 양력보다는 유체흐름을 밑으로 바꿔줌으로써 상승력을 생성시켜주고 그로인한 비행체의 부양을 가속화하는 장치라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즉, 양력이란 상하 속도차로인해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한 부양력이고 플랩은 유체를 아래방향으로 보내는 작용반작용에 따른 힘에 의한 부양력이라 보여집니다.

  • @sabonalse
    @sabonalse Місяць тому

    얼마전에 난류로 추락한 비행기 사고가 있었는데....진짜 10억분의 1 확률을 만난거군요...허 참...RIP

  • @user-wm9nt5gk8k
    @user-wm9nt5gk8k Місяць тому

    와.. 영상 진짜 잘만드셧어요.. 승객들도 이해하기 쉽고 전문용어도 일반인들이 너무 알기쉽네요

  • @polubo55
    @polubo55 Місяць тому

    고정댓글처럼 저도 일본에서 한국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심한 난기류 만난 적이 있어요. 고정댓글과 거의 동일한 경험이었습니다. 일본에서 한국 올때 난기류 만났다는 경험담이 많은데 그게 대기 흐름을 타고 가는 게 아니라 거슬러 오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갈 때와 올 때의 경로가 달라서일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29 днів тому

      경로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겠으나 보통 제트스트림을 안고 가느냐 피해가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상공 위나 중국 상공 위를 거쳐 갈 때는 항로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제트스트림의 영향권에 노출될 수 밖에 없고 이 때문에 발생하는 크고 작은 난기류를 조우할 수 있습니다.

  • @Ssung__94
    @Ssung__94 Місяць тому

    에??? 오늘 구독했는데 안오시네?

  • @Skendi33333d
    @Skendi33333d Місяць тому

    이번 LHR- 싱가포르 은 severe인가? 보니까 기체 손상도 있던데

  • @user-ds8gt3qj9u
    @user-ds8gt3qj9u Місяць тому

    싱가포르항공 난기류 사고 보고 온사암 손!

  • @leesanggyun7924
    @leesanggyun7924 Місяць тому

    결국에는 공기 흐름이 다르다 보니까 그것들이 소용돌이를 만들어서 흔들리는 현상이었네요. 4가지의 경고가 나오는데 무조건 안전벨트를 매야겠습니다

  • @way-of-blessing
    @way-of-blessing Місяць тому

    오늘 싱가포르항공 사고도 난기류라던데 익스트림단계 난기류겠죠 ㅠㅠ 담달에 미국가는데 살짝 겁나네요 ㅠㅠ

  • @Golgotha1153
    @Golgotha1153 Місяць тому

    거짓말 잘한다. 비행기가 그런 구를 비행하려면 매 60초 마다 기수를 일정 각도씩 낮춰야 맞다. 하지만 모든 비행기는 끝없이 진선으로 날아간다

  • @coonogaming2040
    @coonogaming2040 Місяць тому

    갑자기 프사가 바뀐것을 보니 곧 복귀를 준비하시는건가요?.😊

  • @Kwonmurl
    @Kwonmurl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다른 영상이나 책에서는 P-Factor 의 발생이유는 Relative wind velocity 의 차이에서 오는게 아니라, 프로펠러 chord line 과 relative wind 의 각도차이, 즉 AOA 의 차이때문에 생긴다고 들었는데요. 혹시 Relative wind 의 크기가 왜 달라지는지 이유가 있을까요?

    • @user-ic8cz1qs8k
      @user-ic8cz1qs8k Місяць тому

      책에서는 AOA 차이를 과장되게 이야기하는 경유가 많으며 실제로 그 차이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P factor는 실제 프로펠러의 속도, 비행기의 속도 그리고 프로펠러에 작용하는 상대풍의 벡터를 그려보면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으로 그 형태는 위의 영상과 같으며, 양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에 좀 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습니다. P-factor는 종합적으로 상대풍의 속도, 미미한AOA의 차이등에서 발생하는 양력의 불균형을 의미하며 단순 AOA차이로만 설명하는 것은 매우 단편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user-nl7iz2uk3u
    @user-nl7iz2uk3u Місяць тому

    3인치 제곱(X) 3제곱 인치(O) 면적을 단위로 읽을때는 제곱을 먼저 말해야 합니다.

  • @user-vv2xd33qo2s
    @user-vv2xd33qo2s Місяць тому

    연로 버리면 엔진작동 안돼지않아?

  • @user-vv2xd33qo2s
    @user-vv2xd33qo2s Місяць тому

    엔진이2개다 떨어지면

  • @dss-1770
    @dss-1770 Місяць тому

    형 언제 돌아와.....

  • @user-rc8pu1jf6g
    @user-rc8pu1jf6g Місяць тому

    공기가 없으면 제트 엔진 멈춘다고

  • @Alderbridge
    @Alderbridge Місяць тому

    터치다운시 가속도 G는 어떻게 알수있나요? 계기판에 나타나나요?

  • @parkbj2985
    @parkbj2985 Місяць тому

    오래전 육군항공에서 정비병 근무했었고 항공기에 관심이 많답니다 설명 쉽게 잘해주시네요